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화면을 보지 않아도 쓸 수 있는 기술

by 스마트친구365 2025. 5. 11.
반응형

— 손 대신 귀로 조작하는 스마트폰 기능들

현대인의 일상에서 스마트폰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전화, 문자, 인터넷, 영상통화, 심지어 병원 예약과 약 복용 시간 알림까지, 모든 것이 작은 스마트폰 화면 안에서 이뤄집니다. 하지만 이런 흐름에서 소외되는 분들이 있습니다. 바로 시력이 좋지 않거나, 한글을 읽기 어려운 70대 이상 어르신입니다.

이제 기술은 이분들을 위해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고 있습니다. ‘화면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술’, 즉 손보다 귀로 조작하는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복잡한 메뉴를 읽거나, 작은 글씨를 눌러야 하는 불편 없이, 음성 중심의 기능들로 어르신들도 스마트폰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각이나 문해력에 제약이 있는 어르신들을 위해, 말소리로 조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스마트폰 기능들과 실제 설정 방법을 소개해 드립니다.


1. 화면 없이도 조작 가능한 ‘보이스 액세스 (Voice Access)’

‘보이스 액세스’는 말로 스마트폰 전체를 조작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전용 기능입니다. 화면의 각 영역에 숫자를 부여하고, 사용자가 해당 번호를 말하면 그 위치의 버튼이 눌리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열기”라고 말하거나 “3번 눌러”라고 지시하면 손을 대지 않고도 앱을 열 수 있습니다.

📌 주요 기능

  • 홈 화면 이동, 뒤로 가기, 앱 열기
  • 문자 입력 (음성 키보드 연동)
  • 스크롤 내리기, 화면 상단 보기 등 모든 터치 기능을 음성으로 대체

🔧 설정 방법 (안드로이드 기준)

  1. 플레이스토어에서 ‘Voice Access’ 앱 설치
  2. 설정 > 접근성 > 음성 접근(Voice Access) 켜기
  3. ‘항상 듣기 모드’ 허용 → “OK Google”로 즉시 명령 가능

🧓 추천 이유

  • 손가락 움직임이 불편한 어르신에게 최적
  • 메뉴 복잡하지 않고, 숫자 기반이므로 한글 몰라도 사용 가능

2. 보이지 않아도 읽을 수 있는 ‘스크린 리더’ 기능

스마트폰 화면을 전혀 보지 못해도, 화면의 텍스트를 소리로 읽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는 ‘토크백(TalkBack)’, 아이폰은 **‘VoiceOver’**라는 이름으로 이 기능을 제공합니다.

📌 주요 기능

  • 화면 터치 시 해당 항목을 읽어줌
  • 방향 제스처로 항목 간 이동 가능
  • 웹사이트, 문자, 앱 내 메뉴까지 음성으로 읽어줌

🔧 설정 방법

안드로이드

설정 > 접근성 > TalkBack > 사용 중으로 변경
(일부 기종에서는 설정 > 접근성 > 시각 > TalkBack)

아이폰

설정 > 손쉬운 사용 > VoiceOver > 켜기

🧓 추천 이유

  • 화면의 모든 텍스트를 ‘귀’로 확인 가능
  • 문자나 알림을 읽지 못하는 어르신에게 탁월
  • 화면 보기 없이도 내비게이션, 전화, 일정 확인 가능

3. 말로 쓰는 ‘음성 키보드’, 손 안 대고 문자 작성

스마트폰 문자 입력란 옆에 있는 마이크 아이콘, 익숙하신가요? 이 버튼 하나로 말한 내용을 자동으로 문자로 바꿔주는 음성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딸에게 오늘 병원 간다고 보내줘”라고 말하면, 해당 문장이 문자로 입력되며, 전송까지 음성 명령으로 이어집니다.

📌 활용 팁

  • 카카오톡, 문자앱, 검색창 등 모든 입력란에서 사용 가능
  • 띄어쓰기, 마침표까지 음성으로 인식 가능
  • 언어 선택도 가능 (예: 한국어, 영어)

🔧 설정 방법

  1. 키보드 우측 상단의 마이크 버튼 터치
  2. “딸에게 전화해 줘”, “병원 예약해 줘” 등 말하기
  3. 구글 어시스턴트와 연동 시 자동 음성 명령으로 실행

🧓 추천 이유

  • 글자를 읽거나 쓰지 않아도 문자 작성 가능
  • 키보드 누르기 어려운 분들께 유용

4. 어르신을 위한 특별한 기능 ‘고대비 및 글자 확대’

음성 중심 기능과 더불어, **화면을 조금이라도 보기 쉽게 만드는 ‘보조 기능’**도 함께 사용하면 더욱 편리합니다.

📌 유용한 보조 기능

  • 고대비 모드: 글자와 배경 색을 강하게 대비시켜 시인성 강화
  • 글자 크기 조정: 큰 글씨로 보기 좋게 변경 가능
  • 돋보기: 화면 확대 기능으로 세부 내용 보기 가능

🔧 설정 방법 (안드로이드 예시)

설정 > 접근성 > 시각 보조 > 고대비 텍스트 또는 돋보기 활성화

이런 기능들은 시력 저하가 있는 어르신에게 필수적인 설정입니다. 문자나 앱 설명 등을 조금이라도 직접 보고 싶어 하시는 분께 큰 도움이 됩니다.


5. 어르신 맞춤형 앱 + 음성 도우미 조합 추천

스마트폰을 더 쉽게 만들고 싶다면, 전용 런처 앱과 음성 도우미 앱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 예시 조합

  • Big Launcher + 구글 어시스턴트
    → 화면 아이콘을 크게 만들고, 음성으로 전화/문자/날씨 확인
  • Easy Mode(간단 모드) + 시리 or 빅스비
    → 메뉴 단순화 + 말로 작동하는 스마트폰 기능

이 조합은 한글을 읽지 못해도, 단순한 그림과 목소리만으로 스마트폰을 쉽게 쓸 수 있도록 돕습니다.


마무리하며: 기술은 시니어의 귀로부터 시작됩니다

‘기술은 젊은 사람들의 것’이라는 생각은 이제 옛말입니다. 현대 기술은 오히려 노인을 더 깊이 배려하고 있습니다. 화면을 읽지 않아도, 글자를 몰라도, 스마트폰을 작동할 수 있는 기능들이 현실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어르신에게 중요한 것은 단순한 편리함을 넘어서, 스스로 무언가를 할 수 있다는 자존감입니다.
음성 명령, 스크린 리더, 음성 키보드와 같은 기능은 스마트폰 사용을 단순화시키는 것을 넘어, 삶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회복시키는 기술입니다.

가족분들께서는 오늘 한 번만 이 설정들을 도와드려 보세요.
그 한 번의 지원이, 어르신의 일상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