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박사의 학력, 커리어, 저서와 함께 '소버린 AI' 개념과 그 전략을 총정리했습니다. 공공 AI와 기술 주권 시대를 이끄는 핵심 인사이트를 만나보세요.
🗾하정우 초대 AI 수석 인생지도
시기 | 주요 활동 |
학부 및 대학원 | 서울대 컴공 학·석·박, 멀티모달 AI 연구, 최우수 논문상 |
2015 | 네이버랩스 입사, 실무형 연구 시작 |
2017–2020 | 클로바 AI 리서치 책임 |
2020–2023 | AI 랩 소장, 글로벌 연구 주도 |
2023–현재 | AI이노베이션 센터장, 공공AI TF팀장 등 중책 수행 |
2023–2024 | 도서 출간 (‘AI 전쟁’, ‘2025 AI 대전환’), 강연 100+회 |
🎓 학력 및 초기 연구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서 학·석·박사 학위를 모두 취득했으며, 박사 논문은 “비디오의 스토리 이해 및 생성을 위한 멀티모달 AI” 로, 2014년 학부 최우수 박사학위논문상을 수상
- 대학원 진학 당시, 딥러닝이 아직 본격 부상 전임에도 머신러닝을 선택하며 업계 변화의 전환기를 포착
💼 커리어
- 2015년 네이버랩스 입사
머신러닝·딥러닝 기반 비전 및 추천 시스템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후 음악추천 PM으로 활동 - 2017~2020년: 클로바 AI 리서치 책임자
AI 중장기 선행연구 주도. - 2020~2023년: 네이버 AI 랩 소장
ICLR·CVPR·ECCV·ACL 등 최상위 AI 학회에서 연간 두 자릿수 논문 발표, 네이버 연구 영향력 세계 6위 달성 - 2023년 이후: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
초거대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 기반 연구 및 글로벌 전략 총괄
🎤 공공·정부 자문 및 활동
-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초거대 공공AI TF 팀장으로, 공공기관의 AI 업무혁신을 위한 TF를 이끌고 있음
- AI미래포럼 공동의장, 디지털정부·금융감독·중기부 자문 등 다수 정부 자문위원 활동
📚 저서 및 강연
- 대표 저서:
- AI 전쟁 (2023): “국내 최고 AI 전문가의 최전선 현장 이야기”
- 2025 AI 대전환: 주도권을 선점하라 (2024, 오순영 공동 저자):
“기업이 겪는 어려움부터 실행 전략, 에이전트 AI 시대의 방향성까지 실제적 조언 제공”
-
- 강연 활동:
최근 1년간 개인·기업·공공기관 등에서 100회 이상 강연 수행
- 강연 활동:
🧭 하정우 수석이 말하는 소버린 AI
-
1. 정의: ‘소버린 AI’는 기술 주권을 넘어선 국가 생존 전략
하정우 박사는 “소버린 AI는 단순히 우리가 만든 AI가 아니라,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AI”라고 말합니다. 이는 아래의 3가지 개념을 포함합니다.
개념 의미 기술적 자립 모델 개발, 데이터 축적, 알고리즘 튜닝 등을 외국에 의존하지 않음 정책적 통제 공공기관과 민간이 함께 책임과 윤리를 갖고 AI를 운용 국가적 전략자산화 AI를 국가의 기반 인프라로 보고 보호·활용해야 함 2. 왜 소버린 AI가 필요한가?
(1) 국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함
- 현재 한국은 클라우드, 언어모델, 검색엔진 등 대부분의 핵심 AI 인프라를 미국·중국 기술에 의존
- 예: ChatGPT가 막히거나 API 가격이 오르면 국내 기업/교육/공공기관 모두 타격
(2) 공공기관의 AI 전환을 위한 기반 확보
- 공공 분야에서 민감한 정보와 데이터를 외국 서버에 올릴 수 없음 → 자체 모델과 인프라 필수
(3) AI 시대의 디지털 자주권 확보
- 데이터, 알고리즘, 실행 환경을 통제해야 국가가 정책적으로 AI를 활용 가능
- 외부 기술에 종속되면 공공업무, 교육, 복지, 안보까지 통제받을 수 있음
3. 소버린 AI 실현 전략: 하정우의 5대 제안
전략 내용 ① 공공형 초거대 언어모델 구축 클로바X 같은 모델을 공공 업무에 맞춤화해 구축, 국민언어·행정어 최적화 ② AI 내재화 인재 양성 단순 사용자 아닌 ‘내부 개발자’ 양성, 공무원 대상 AI 교육 강화 ③ 경량화된 AI 배포 기술 확보 GPT급 AI를 누구나 조직 내에서 실행 가능한 크기로 압축/배포 ④ 책임형 AI 운영 가이드 정립 ‘책임-통제-추적’이 가능한 투명한 AI 체계 구축 (윤리, 보안 포함) ⑤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 클라우드·칩·알고리즘·데이터 기업을 연결해 자체 생태계 형성 3. 소버린 AI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 정부: 클라우드 정책, 행정 효율화, 국가 정보보호
- 기업: 외부 API 종속에서 벗어나 자체 AI 서비스 개발 가능
- 국민: 개인정보 보호, 공공 서비스 개선
- 미래세대: 한국형 AI 생태계에서 자란 인재들이 글로벌 리더로 성장
✅ 종합 정리: ‘소버린 AI’ 5 문장 요약
- 하정우 박사가 말하는 소버린 AI는 ‘우리가 만들고, 우리가 통제하는 국가형 AI’입니다.
- 이는 기술 독립, 정책 자율, 공공 책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 외국 기술에 의존할 경우 국가의 행정, 안보, 교육이 모두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 이를 위해 그는 초거대 공공모델 구축, AI 인재 내재화, 윤리적 운용 가이드 등을 제안합니다.
- 궁극적으로 그는 소버린 AI를 통해 한국이 디지털 자주권을 가진 AI 선도국가로 도약하길 기대합니다.
🔎 시니어 화제의 인물
이국종 교수 보건복지부장관으로 거론되는 이유
이국종 교수는 왜 유명할까? 중증외상센터 설립, 정치적 논란, 보건복지부 장관 거론까지… 대한민국 의료계를 흔든 이유를 깊이 정리합니다. 🧠 이국종 교수 프로필 요약항목내용이름이국종 (
hello-senior.tistory.com
감성 저음의 마법사, 손태진 8월 팬미팅 예약하러가기!
트로트계에 ‘믿고 듣는 목소리’가 있다면, 부모님들이 좋아하는 감성 저음의 마법사가 있다면 단연 손태진을 꼽을 수 있습니다.손태진 프로필만 살펴보아도, 클래식부터 트로트까지 모두 아
hello-senior.tistory.com
추신수 은퇴식 팬들이 뽑은 최고의 감동 장면 TOP 5
🧢 추신수 선수 프로필기본 정보이름: 추신수(秋信守, Choo Shin-Soo)생년월일: 1982년 7월 13일 (만 42세)출생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포지션: 외야수투타: 우투좌타신장/체중: 183cm / 97kg프로 입단: 2001
hello-senior.tistory.com
'시니어들의화제의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임영웅이 돌아온다. 새 예능 섬마을 히어로 출연 확정 (1) | 2025.06.17 |
---|---|
추신수 은퇴식 팬들이 뽑은 최고의 감동 장면 TOP 5 (3) | 2025.06.15 |
감성 저음의 마법사, 손태진 8월 팬미팅 예약하러가기! (1) | 2025.06.13 |
이국종 교수 보건복지부장관으로 거론되는 이유 (4) | 2025.06.12 |